AI 시대의 다면적 SEO 전략: 구글 중심에서 플랫폼별 맞춤화로
최근 구글의 게리 일리가스(Gary Illyes)가 던진 한 마디가 SEO 업계에 큰 파장을 일으켰습니다.
"AI 오버뷰나 AI 모드에서 순위를 높이는 데 AEO(Answer Engine Optimization)나 GEO(Generative Engine Optimization)는 필요하지 않다. 기존의 표준 SEO만 있으면 충분하다"는 것입니다.
구글의 논리: "기존 SEO면 충분하다"는 이유
구글의 자신감 있는 발언 뒤에는 명확한 기술적 배경이 있습니다. AI 오버뷰의 작동 원리를 살펴보면 AI 오버뷰는 기존 검색과 동일한 인프라를 사용하며, 동일한 크롤러(Googlebot)와 인덱스를 활용합니다. RankBrain과 MUM(Multitask Unified Model) 등 기존 AI 시스템과 연계되어 작동하며, Query Fan-Out과 Grounding 기술로 답변 정확도를 향상시킵니다. 즉, 구글 입장에서는 "이미 우리가 가진 모든 기술이 통합되어 있으니, 기존 SEO를 잘하면 AI 결과에도 자동으로 반영된다"는 메시지를 줄 수밖에 없는 상황입니다.
하지만 우리는 구글 생태계가 아닌 곳도 고민해야 합니다.
ChatGPT는 2024년 10월 31일 실시간 웹 검색 기능을 정식으로 출시했습니다. 이는 이전의 제한된 학습 데이터셋 의존에서 완전히 벗어나는 변화였습니다. ChatGPT 검색은 실시간 웹 검색과 소스 인용 시스템을 구축하여 최신 뉴스, 스포츠 스코어, 날씨 등 실시간 정보를 제공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또한 OpenAI는 Associated Press, Axel Springer, Financial Times, Reuters 등 주요 뉴스 기관과 파트너십을 맺어 신뢰할 수 있는 콘텐츠 소스를 확보했습니다.
Anthropic은 2025년 3월 Claude 3.7 Sonnet에 웹 검색 기능을 추가했습니다. 이전까지는 2024년 10월 지식 컷오프 날짜까지의 정보에만 의존했지만, 이제는 실시간 정보에 접근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Claude는 ClaudeBot이라는 웹 크롤러를 통해 웹 콘텐츠를 수집하며, 이 봇은 표준 robots.txt 지침을 준수합니다. Claude의 웹 검색 기능은 출처를 명확히 인용하여 사용자가 정보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합니다.
Perplexity는 처음부터 실시간 웹 검색에 특화된 AI 플랫폼으로 시작했습니다. Perplexity는 Reddit, 학술 데이터베이스, 소셜 미디어 등 다양한 소스에서 정보를 수집하여 심층적인 분석을 제공합니다. 특히 Reddit 커뮤니티의 토론을 중심으로 한 정보 수집에 강점을 보이며, 전문적이고 실시간적인 답변 제공에 집중하고 있습니다.
플랫폼별 데이터 소스와 차별화된 최적화 전략
이제 각 플랫폼의 특성을 이해하고, 그에 맞는 전략을 세워야 할 때입니다.
구글 AI 검색: 전통적 SEO 강화 전략
구글의 AI 오버뷰는 전체 웹 인덱스를 기반으로 작동합니다. 최적화 핵심은 기존 SEO 전략의 연장선에서 접근하는 것입니다. E-E-A-T(Experience, Expertise, Authoritativeness, Trustworthiness) 강화가 중요하며, 구조화된 데이터와 스키마 마크업을 활용해야 합니다. 콘텐츠 품질과 사용자 경험 최적화에 집중하면서, 기존의 검색엔진 최적화 원칙을 지속적으로 발전시켜 나가는 것이 핵심입니다.
ChatGPT: 파트너십 기반 하이브리드 전략
ChatGPT는 실시간 웹 검색과 파트너 콘텐츠를 결합한 하이브리드 접근법을 사용합니다. Wikipedia와 같은 고품질 백과사전 콘텐츠와 실시간 웹 검색을 결합하여 정보를 제공합니다. 최적화 전략으로는 Wikipedia 항목의 정확한 관리 및 업데이트, 최신성과 정확성을 겸비한 콘텐츠 제작, 구조화된 FAQ와 명확한 소스 인용, 그리고 파트너 뉴스 기관과의 협력 가능성 모색이 필요합니다.
Claude: 신뢰성 기반 콘텐츠 전략
Claude는 큐레이션된 고품질 소스를 중심으로 웹 크롤링과 실시간 검색을 결합합니다. 최적화 전략으로는 깊이 있고 신뢰할 수 있는 정보 제공, 명확한 자격과 경험을 바탕으로 한 콘텐츠 작성, 참조 가능한 신뢰할 만한 출처 명시, 그리고 robots.txt를 통한 ClaudeBot 접근성 최적화가 중요합니다. 특히 투명한 소스 공개와 전문성 입증이 Claude 플랫폼에서의 가시성을 높이는 핵심 요소입니다.
Perplexity: 커뮤니티 중심 전문성 전략
Perplexity는 실시간 웹 검색과 함께 커뮤니티 토론을 적극 활용합니다. Reddit과 같은 커뮤니티 플랫폼의 토론을 중심으로 한 정보 수집에 강점을 보이며, 전문적이고 실시간적인 답변 제공에 집중하고 있습니다. 최적화 전략으로는 전문 커뮤니티에서의 적극적 참여, 단순 정보가 아닌 인사이트 제공, 최신 트렌드와 이슈에 대한 전문적 견해 공유가 필요합니다. 심층 분석 콘텐츠를 통해 사용자가 찾는 답변을 종합적으로 제공하는 것이 Perplexity에서의 성공 전략입니다.
2025년 AI 최적화 전략: 통합적 접근법
성공적인 AI 시대 마케팅의 핵심은 플랫폼 불가지론적 품질 전략과 플랫폼별 특화 전략의 조합입니다.
첫째, 모든 플랫폼에서 통용되는 고품질 콘텐츠 제작이 기본입니다. 둘째, 명확한 인용과 참조 시스템을 통한 소스 투명성 확보가 필요합니다. 셋째, E-E-A-T 기반의 신뢰도 구축을 통한 전문성 입증이 중요합니다. 넷째, FAQ, 스키마 마크업, 명확한 계층 구조를 통한 구조화된 정보 제공이 모든 AI 플랫폼에서 효과적입니다.
새로운 최적화 영역
실시간 정보 관리는 빠르게 변화하는 정보에 대한 실시간 업데이트 시스템 구축을 의미합니다. 커뮤니티 참여를 통해서는 Reddit, Stack Overflow 등에서의 전문적 기여를 통한 신뢰도 구축이 가능합니다. 파트너십 활용에서는 각 플랫폼의 데이터 파트너와의 협력 기회를 모색해야 합니다. 마지막으로 크로스 플랫폼 일관성을 통해 여러 AI 플랫폼에서 일관된 브랜드 메시지를 유지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결론: "다면적 AI 최적화"가 답이다
구글의 "AEO/GEO 불필요론"은 구글 생태계 내에서는 여전히 유효합니다. 하지만 구글이 AI 생태계를 완전히 장악한 것은 아니므로 앞으로 이 생태계의 1위가 결정될때 까지는 모든 곳에서 최적화가 되어야 합니다.
핵심은 더 이상 "검색엔진 기반 AI" vs "대화형 AI"의 이분법적 구분이 아니라, 각 플랫폼의 고유한 데이터 소스와 사용자 행동 패턴을 이해하는 것입니다.
성공적인 AI 시대 마케팅 전략은 다음과 같습니다.
첫째, 모든 플랫폼에서 통용되는 고품질 콘텐츠 제작이라는 기본기 충실이 필요합니다. 둘째, 각 AI의 특성에 맞는 최적화 전략 수립을 통한 플랫폼별 맞춤화가 중요합니다. 셋째, 빠르게 변화하는 AI 생태계에 대한 지속적 모니터링을 통한 실시간 대응이 필수입니다. 넷째, 단일 플랫폼이 아닌 AI 생태계 전체를 아우르는 종합 전략을 통한 통합적 접근이 성공의 열쇠입니다.
구글의 발언에만 안주할 것이 아니라, 진화하는 AI 생태계 전체를 포괄하는 "다면적 AI 최적화 전략"을 구사해야 할 때입니다. AI의 시대에서 살아남으려면, 하나의 플랫폼이 아닌 생태계 전체를 바라보는 시각이 필요합니다.
『AI로 팔아라』 저자 김민영
📬 문의: agnes.aimarketing@gmail.com
🔗 LinkedIn: https://www.linkedin.com/in/%EB%AF%BC%EC%98%81-%EA%B9%80-8244a924/
#AI마케팅 #MarketingAI #생성형AI #초개인화 #마케팅자동화
#김민영 #AI로팔아라 #DigitalMarketing #MarketingTrends #AIMarketingExpert
#GenerativeAI #CustomerExperience #AI전문가 #CMO인사이트 #AI로팔아라 #SEO #AEO #GEO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