숏폼 시대의 게임 체인저: YouTube Shorts가 만드는 2025년 미디어 생태계의 변화
왜 지금 Shorts에 주목해야 할까?
2025년에 접어들면서, 디지털 미디어 생태계에 예상보다 훨씬 빠른 변화의 바람이 불고 있습니다.
그 중심에는 YouTube Shorts가 있습니다.
요즘 인스타그램이나 유튜브를 넘겨보다 보면 YouTube Shorts로 수익 내기, 퇴직하고 월 1000만원 벌기 등의 영상들을 많이 접하게 됩니다. 이는 사실일까요?
물론 개인차는 있겠지만, YouTube CEO 닐 모한이 칸 라이언즈 2025에서 공개한 수치에 따르면 현재 Shorts는 하루 2,000억회 조회수를 기록하고 있고, 미국을 비롯한 여러 국가에서 시간당 수익이 롱폼 영상과 동일하거나 이를 넘어서는 수준에 도달했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이 숫자가 의미하는 바를 곰곰 생각해보면, 단순히 '숏폼이 인기 있다'는 차원을 훨씬 넘어선 이야기입니다. 플랫폼 관점에서 숏폼과 롱폼 간의 수익성 격차가 급속히 줄어들고 있다는 것이고, 이는 광고주와 마케터들에게 완전히 새로운 게임의 룰이 만들어지고 있음을 의미합니다.
광고 생태계의 성숙: 분리된 타겟팅과 측정의 시대
2024년부터 본격화된 변화 중 하나는 YouTube가 Shorts 전용 광고 타겟팅 옵션을 제공하기 시작한 것입니다. 이제 광고주들은 기존 인스트림 광고와 완전히 분리된 환경에서 Shorts 캠페인을 설정하고, 독립적으로 성과를 측정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크리에이터 수익 배분 구조도 안정적인 궤도에 올랐습니다. Shorts 피드 사이에 노출되는 광고 매출을 크리에이터 풀로 모아서 45%를 창작자에게 배분하는 공식 정책이 현재 운영되고 있는데, 이는 기존 롱폼 영상의 55% 크리에이터 분배율과는 반대 구조입니다. 하지만 숏폼의 특성과 광고 노출 방식을 고려하면 오히려 합리적인 모델로 평가받고 있습니다.
성과 지표로 본 숏폼 vs 롱폼의 현주소
도달률에서의 압도적 우위
인지도 향상이 주요 목표인 캠페인에서는 기존 인스트림 광고 대비 훨씬 숏폼이 경쟁력 있는 비용 구조를 보여주고 있습니다.
예상을 뛰어넘는 퍼포먼스 지표들
더욱 흥미로운 점은 Shorts의 CTR이 인스트림 광고에 근접한 수준을 보이고 있다는 것입니다. 일부 케이스에서는 클릭 및 하위 퍼널 성과가 유사하게 나타나기도 합니다. 물론 피드 구조의 특성상 완주율은 상대적으로 낮지만, 이는 숏폼 콘텐츠의 본질적 특성으로 받아들여지고 있습니다. 이런 결과들이 누적되면서, Shorts는 더 이상 '브랜딩용 채널'이 아닌 '퍼포먼스 마케팅의 핵심 축' 중 하나로 인식되기 시작했습니다.
AI 기술이 가져올 크리에이티브 혁신
YouTube는 AI 기반 콘텐츠 제작 도구들을 점진적으로 도입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기술의 발전으로 크리에이터들은 더욱 효율적이고 창의적인 방식으로 숏폼 콘텐츠를 제작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특히 텍스트 프롬프트를 활용한 영상 생성 기능들이 지속적으로 개선되면서, 기존의 '긴 영상을 편집해서 숏폼으로 만드는' 방식에서 '아이디어에서 바로 콘텐츠 제작'이라는 새로운 패러다임으로의 전환이 가속화되고 있습니다.
2025년 미디어 믹스 재조정 전략
그렇다면 실제 캠페인에서는 어떻게 접근해야 할까요?
출발점으로는 YouTube 캠페인 예산의 20-40%를 Shorts에 할당해보는 것을 권합니다. 그리고 2주 단위로 성과를 평가한 후, 결과가 좋다면 최대 50%까지 확대를 고려해볼 수 있을 것입니다.
핵심 판단 기준은 세션당 체류시간이 인스트림 대비 85% 이상을 유지하는지 살펴보는 것입니다. 이 조건이 만족한다면, Shorts의 비중을 늘려가도 전체 캠페인 성과에 부정적 영향을 주지 않을 가능성이 높습니다. 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Shorts 전용 캠페인과 광고그룹으로 분리해서 운영하는 것입니다. 이렇게 해야 각각의 학습 데이터가 섞이지 않고, 예산 경합도 방지할 수 있습니다.
숏폼이 필수가 되어가는 시대
2025년 현재 YouTube Shorts는 단순한 브랜드 인지도 향상 도구를 넘어 퍼포먼스 마케팅의 핵심 채널로 자리잡았습니다. AI 크리에이티브 도구의 발전으로 제작 비용과 시간이 대폭 절약되는 지금, YouTube Shorts는 더 이상 '해보면 좋은 것'이 아닌 '하지 않으면 뒤처지는' 필수 채널이 되어가고 있습니다. 변화의 속도가 이렇게 빠른 시점에서는, 먼저 시작하는 것이 곧 경쟁 우위가 될 수밖에 없습니다.
『AI로 팔아라』 저자 김민영
📬 문의: agnes.aimarketing@gmail.com
🔗 LinkedIn: https://www.linkedin.com/in/%EB%AF%BC%EC%98%81-%EA%B9%80-8244a924/
#AI마케팅 #MarketingAI #생성형AI #초개인화 #마케팅자동화
#김민영 #AI로팔아라 #DigitalMarketing #MarketingTrends #AIMarketingExpert
#GenerativeAI #CustomerExperience #AI전문가 #CMO인사이트 #AI로팔아라 #YouTubeShorts #Shorts
댓글